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2

글을 쓰기에 앞서서 위 카테고리를 이제 생성에 대해 많은 시간을 고민했다. 이유는 아직 부족한 코테의 실력과 더불어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풍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도 훌륭한 적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지만, 현재 시점부터는 문제를 푸는 것 이외에 다양한 관점에서 여러 방면으로 접근해보고 더 꼼꼼한 공부를 해보고 싶었기에 시작하게 된 것이다. 코테 준비를 위해 1년 기간동안 알고리즘 스터디를 동기들과 꾸준하게 하고 있는데, 이는 4명이서 매주 4문제씩 백준 홈페이지에서 문제를 선정하고 있다. 문제에 대한 이해와 관점은 다른 경우가 많았기에 현재는 각자 Pr을 올려 코드 리뷰를 개인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깃허브 링크는 아래에 있으니 참고해도 좋을 것 같다. https://github.com/lco.. 2023. 4. 13.
이진 트리와 순회 방법 이진 트리(Binary Tree)는 각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 자료구조입니다. 이진 트리는 많은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며, 특히 검색 알고리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진 트리는 각 노드(Node)가 데이터와 두 개의 포인터(left, right)를 가지며, 이 포인터를 통해 자식 노드를 가리킵니다. 트리의 가장 위쪽에 위치한 노드를 루트 노드(Root Node)라고 하며, 가장 아래쪽에 있는 노드를 리프 노드(Leaf Node)라고 합니다. 이진 트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순회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순회 방법으로는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중위 순회(Inorder Traversal),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가 있습니다.다음은 이진 트.. 2023.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