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AWS 구조와 서비스6 6. 네트워크 용어 & VPC 웹 서버는 어디에 존재하는 것일까? 웹 서버는 데이터 센터에 있을 수도 있고,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있을 수도 있다. 웹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웹서버가 그곳에 있다는 특정 정보가 필요하다. 이것이 IP 주소다.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는 이 IP 주소를 바탕으로 위치를 특정해 그곳에 있는 웹 서버에 접속한다. 일반적으로 IPv4가 표준으로 사용된다. 192.168.1.1 은 각각 0~256의 범위를 가지고 IPv4는 주소가 2^32개, IPv6는 2^128개 존재한다. 퍼블릭 IP 주소와 프라이빗 IP 주소 IP주소는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한국 또는 전 세계에서 '이 주소는 인터넷에서 이곳'이라고 특정할 수 있는 주소다. 이를 퍼블릭 IP주소 또는 글로벌 IP주소라고 한다. 다른.. 2023. 12. 9. 5. 스토리지 서비스 Amazon S3는 데이터 저장 장소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3)는 AWS에서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다. 스토리지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말하며 객체란 텍스트 파일이나 음성 파일 같은 데이터를 말한다. 객체 스토리지는 기존의 파일 스토리지처럼 폴더 구조는 갖지 않고 객체 키로 데이터를 고유하게 식별해 데이터의 입출력과 관리를 수행한다. 키만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S3의 특징 1. 용량 무제한 -> 객체당 5TB라는 제약이 있지만 객체 수나 데이터 용량에는 제한이 없다. 2. 높은 내구성 -> 일반적으로 데이터가 3개 이상의 AZ로 복사된다. 복사를 통해 데이터의 내구성을 높여주며 AWS에서는 높은 내구.. 2023. 12. 8. 4. 컨테이너의 구조와 특징 이해 컨테이너는 어떤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지 미리 정의해둔 파일을 바탕으로 실행된다. 이것을 컨테이너 이미지라고 한다. 컨테이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가상화에 비해 가볍고 빠르다는 것이다. 컨테이너에 포함된 것이 적기 때문이다. 가상 서버를 기동한다면 OS, 미들웨어, 응용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상 서버 이미지에는 이러한 파일이 모두 포함된다. 반면 컨테이너는 응용 프로그램 프로세스만 시작된다. 컨테이너 이미지도 기본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의존성 패키지만 포함되므로 가상 서버에 비해 가볍다. 가상 서버는 일반 서버와 마찬가지로 OS -> 미들웨어 ->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지만, 컨테이너는 직접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처리 역시 OS에 대한 오버헤드가 없는 만큼 가상 서버.. 2023. 12. 8. 3. 컴퓨팅 서비스(하) 서버 자동 추가 및 제거 Amazon Ec2 Auto Scaling 기능을 사용하면 서버 추가 및 제거를 부하 상황에 맞게 수행할 수 있다. 서버를 추가하는 것을 스케일 아웃, 제거하는 것을 스케일 인이라고 한다. CPU사용률에 맞춰 서버를 추가하거나 CPU를 추가할 수 있다. 시작 템플릿에 AMI 정보와 서버가 추가될 조건을 설정하면 조건에 맞춰 서버가 자동으로 추가된다. 목표 사용률을 지정해 지정한 값을 유지하게끔 인스턴스 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대상 추적 조정 정책이라는 기능도 있다. 예를 들어 평균 CPU 사용률을 50%가 되도록 목표를 지정하면 대상 추적 조정 정책은 CPU 사용률을 감시해 50%를 넘으면 인스턴스를 추가한다. 반대로 CPU 사용률이 많이 내려가면 인스턴스를 줄인다. 서버 자원의.. 2023. 12. 6. 2. 컴퓨팅 서비스(상) AWS뿐 아니라 어떤 시스템에서도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 시스템 처리를 실행할 컴퓨터이다. AWS에서는 가상 서버인 EC2와 컨테이너 서비스인 ECS 등 폭 넓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를 데이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서버, 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예로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컴퓨터가 서버고, 웹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다. 웹 서버 웹 서버는 웹 페이지 자체의 구조를 만드는 HTML 파일과 디자인을 정의하는 CSS 파일, 사이트에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 등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서버를 웹 서버라고 한다. AWS에서 웹 서버를 구축하는 경우 EC2와 ECS로.. 2023. 12. 5. 1. AWS 기초지식 AWS는 Amazom.com에서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어떠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DB 같은 기능이 필요한데, 이런 기능을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를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한다. AWS처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를 개방형 클라우드라 한다. 이외에 구글에서 운영하는 GCP, Microsoft Azure 등이 있다. 온프레미스란 사용자가 관리하는 시설 내에 서버 등의 기기를 설치해 운용하는 환경이다.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장하기 전에는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관련 기기를 준비하고 설정해야 했다. 이런 기기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시설을 데이터 센터라한다.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서버 등의 기기를 준비하고 거기에 구축된 가상.. 2023. 12. 5. 이전 1 다음